-
반응형
한국어로는 탐욕 알고리즘입니다.
현재 주어진 조건에서 가장 최적해를 구하는 데에 사용되는 '근사적 방법'입니다.
예제 ) 곱하기 혹은 더하기
근사적인 접근 :
-> '보통' (근접해있는 두 수가 0 or 1인 경우)를 제외하면 +보다 *를 선택하는 것이 값을 더 크게 만든다.
예제 2) 모험가 길드
근사적인 접근 :
-> 주어진 조건을 다 따르면서 최대한 많은 그룹을 만들어 줘야 한다.
-> 오름차순으로 정렬 후, 하나씩 앞으로 가면서 작은 값들부터 나눠준다.
반응형'IT > 자료구조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구조] 해쉬 테이블(Hash table) (Python) (0) 2021.07.28 [자료구조] 링크드 리스트 (Linked List) (Python) (0) 2021.07.28 다이나믹 프로그래밍(파이썬3) (0) 2021.02.03 [프로그래머스/Level2/파이썬3] 프린터 (0) 2021.02.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