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드포크와 소프트포크

    2020. 3. 29.

    by. ziasu

    반응형

    가장 최근에는 스팀의 하드 포크 많은 이슈가 되었죠 ㅎㅎ

     

    스팀? 소셜 플랫폼인 Steemit과 관련 있는 곳 맞습니다. Steemit은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참여도에 비례하는 수익을 골고루 분배받을 수 있게 만들어진 플랫폼이지요. 저도 이러한 시도는 생태계가 잘만 유지된다면 상당히 이상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튼 최근에 저스틴 선의 트론이 스팀을 인수하게 됩니다.

     

    모든 인수합병이 매끄럽게만 진행될 수는 없듯이 스팀도 이 과정에서 난관을 겪게 됩니다. 네트워크 운영을 두고 합의점을 찾지 못해서 결국은 하드 포크를 시행하게 됩니다. 3월 20일부터 체인분리가 되었고, 하드 포크 된 새로운 블록체인의 이름은 '하이브'로 지었습니다. 당연히 트론 쪽 아이디어가 맘에 안 들었던 사람들이 하이브 쪽으로 대거 이동했겠죠...?

    문맥상으로만 봐도 하드포크가 뭔가 분가, 결별의 어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눈치채셨을 것입니다. ㅎㅎ

    이 기회에 블록체인쪽에 관심이 조금이라도 있으시면 한 번은 들어봤을 '하드 포크'와 '소프트 포크'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을 여기에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저도 공부 좀 해야 돼서요 ㅋㅋㅋㅋㅋ 

     

    하드 포크

    사전에는 '하드 포크(Hard Fork)'는 블록체인 프로토콜이 어느 한 시점에서 급격하게 변경되는 것을 뜻한다. 이렇게 나와있네요. 한 문장인데 상당히 포괄적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여기서 조금 쉽지만 대강의 느낌을 알 수 있게 설명하자면

     

    어느 순간을 기점으로 둘로 쪼개지는 것을 말합니다. 쪼개지는 시점으로부터 같은 뿌리를 가지고 다른 길을 걸어가는 느낌입니다.

     

    아무래도 급격한 변화를 주는 작업이기 때문에 진짜 심각한? 취약점을 발견했을 때 단행됩니다. 중대한 사항이기 때문에 당연히 다수의 개발자, 이용자, 채굴자들의 동의가 필요하죠.

     

    예로는 비트코인(BTC)에서 나온 비트코인 캐시(BHC)와 이더리움(ETH)에서 나온 이더리움 클래식(ETC)이 있습니다. 저도 처음에는 이더리움 클래식이 하드 포크 이후 새로운 체계를 쓰는 친구인 줄 알았는데 그 반대이더라고요. 괜히 클래식 닉을 앞에 붙인 게 아니었어 ㅎㅎ

     

    소프트 포크

    하드 포크에 대한 느낌을 약간이라도 찾으셨다면 소프트 포크는 대충 어떤 친구인지 감이 올 것입니다. 이름부터 Soft가 들어가듯이 조금 더 스무스한 변화입니다. 가장 중요한 부분은 기존의 버전과 호환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드 포크처럼 눈에 보이는 큰 변화는 잘 생기지 않습니다.

     

    제 눈높이에 맞춘 비유를 해보자면

    음..... 잘 안 떠오르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무래도 공부가 더 필요한 것 같습니다 ㅎㅎ

     

    혹시라도 틀린 부분이나 애매한 부분이 있다면 소통 부탁드립니다!!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 독학 시작  (0) 2020.07.19
    축농증 수술 후 한달  (4) 2020.03.31
    축농증(만성 부비동염) 수술 3주차  (4) 2020.03.20
    축농증(만성 부비동염) 수술 2주차  (0) 2020.03.15

    댓글